티스토리 뷰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라면을 좋아하실텐데요. 라면은 조리하기도 아주 편리하고, 한끼식사로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간편한 식품이라 전세계적으로 많은 인기를 모으고 있는데요.



라면은 한 번 구입할 때 박스채로 구입을 하는 경우도 많이 계실텐데요. 라면의 경우 금방 소비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유통기한에 대해서 그리 신경을 쓰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라면의 경우 유통기한이 6개월로 그리 길지 않습니다. 언제든 먹고 싶을 때 먹기 위해서 대량으로 구입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라면 유통기한도 중요하기 때문에 신경을 쓰셔야 되는데요.



라면 유통기한이 6개월로 정해진 이유를 제대로 알아보시고, 유통기한이 지난 라면 괜찮은지 소개해 드리도록 할텐데요. 혹시 라면 유통기한이 지난 경우 어떻게 해야 할지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를 하시기 바랍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라면의 유통기한은 고작 5~6개월 정도에 불과한데요. 라면을 구성하는 세부적인 유통기한을 나누면 면의 경우6개월, 분말스프는 12개월, 건더기 스프는 18개월정도 보관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라면에 표시된 유통기한 및 소비기한을 확인 할 수 있는데요. 유통기한은 식품을 유통할 수 있는 기한이며 소비기한은 식품을 소비, 섭취가 가능한 기간을 설정한 것이라고 합니다.



유통기한은 지났는데 소비기한이 아직까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드셔도 무방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보관상태에 따라서 면이 변질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되도록 유통기한 내에 드시는 것이 좋으며, 소비기한까지 넘긴 라면이라면 드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라면의 유통기한이  짧은 이유는 면을 튀길 때 쓰는 기름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라면에 쓰이는 기름인 유지성분은 공기 중의 산소나 열, 세균, 수분 등과 만나면 변질이 되는 이유로 질소포장을 해서 판매를 하고 있지만, 기름이 산패되는 한도 기준이 라면의 유통기한이라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라면을 포함해서 많은 식품들의 유통기한에만 신경을 쓰시고, 소비기한에는 별 신경을 쓰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는 빨리 드시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라면의 경우에는 절대 드시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요즘에는 라면도 진공포장으로 유통기한이 3년이나 되는 정도의 라면 캔을 판매하는 나라도 있는데요. 부피나 무게가 많이 나가는 단점을 보완해서 식품의 유통기한이나 소비기한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이 나올 것이란 예상이 듭니다.



여기까지 라면 유통기한 및 소비기한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우리나라 국민들이 남녀노소 좋아하고 즐겨 드시는 라면의 경우 위와같은 유통기한이나 소비기한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이해하시고 드시길 바랍니다.

댓글